|
양측은 제조와 기술상용화에 강한 대한민국과 혁신기술을 가진 이스라엘의 상호보완적 산업구조를 감안할 때, 양국이 경제협력의 주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데 공감했다.
호센 대사는 이스라엘의 선진화된 IT 솔루션과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간 협력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좋은 예라고 언급하는 한편, 이스라엘의 가스전 개발 등 인프라 개발사업에 한국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희망했다.
또한 양측은 양국의 교역 및 투자 확대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경제협력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양국간 FTA 체결이 중요하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했다.
이와 관련 고 차관은 한-이스라엘 FTA가 조속한 시일내에타결될 수 있도록 이스라엘 정부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.
아울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(AIIB) 등과 같은 다자개발기구의 역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.
양측은 앞으로도 양국의 상호 호혜적 협력관계가 지속 발전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