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(비전21뉴스=정서영 기자)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24년 6월 22일 오전 10시 30분 집무실에서 극저신용대출 이용자 세 명과 간담회를 갖고 이 제도가 어려운 처지에 놓인 도민들에게 ‘단비’ 같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. 김 지사는 “극저신용대출은 공공과 사회가 내미는 마지막 손길이며 대한민국 경제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”이라고 강조했다.
간담회 참석자들의 사례는 극저신용대출이 실질적인 생계 지원과 재기 발판으로 기능했음을 보여준다. 66세 조손가구 김광춘 씨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 한쪽 눈 실명과 다리 불편으로 생계가 어려웠으나, 50만 원 대출과 경기도의 사후관리 상담을 통해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되어 위기를 극복했다. 그는 “극저신용대출이 없었다면 어린 손자들에게 간식조차 사줄 수 없었다”고 말했다.
51세 1인 가구 A씨는 월 50만 원 아르바이트 수입에 빚 5천만 원을 안고 신용회복위원회 개인워크아웃 중이었다. 코로나 시기에 받은 200만 원 대출금은 생활비와 의료비 등으로 활용됐으며, 경기도의 버스기사 양성사업 연계로 재취업의 기회를 얻었다. A씨는 “도에서 도움을 주고 새로운 삶의 기회를 줘 감사하다”고 전했다.
48세 B씨는 코로나 실직 후 다중 채무 5천만 원에 시달렸으나, 50만 원 대출금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마을버스 취업에 성공해 상환을 완료했다. 그는 “극저신용대출 제도가 많은 도움이 됐다”고 밝혔다.
이 밖에도 고령 독거노인 C할머니는 전동휠체어 구매를 위해 대출금을 썼고, 한부모 가정 D씨는 아이들 교육비와 의료비 등으로 활용하며 시각디자인 직업교육을 수료하는 등 다양한 계층이 이 제도를 통해 위기를 견뎌냈다.
경기도는 민선7기 설계·집행된 정책을 민선8기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대출 전후 복지상담을 병행해 최적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. 현재 완전상환자는 전체 이용자의 24.5%이며, 상당수는 대출 만기가 도래하지 않아 상환 의지가 높다. 재약정 비율은 35.3%, 연체율은 문자 접촉 등 관리 노력으로 최근 12.8% 감소한 38.3%이다. 일부 언론이 보도한 ‘74% 연체율’은 재약정과 연체율을 합산한 수치로서 명백한 오보라고 김 지사는 지적했다.
김동연 지사는 이날 간담회에서 “극저신용대출은 단순 금융지원이 아닌 채무관리·상담·사회복귀 지원까지 포함하는 사회적 회복 프로그램”이라며 ‘극저신용대출 2.0’을 선언했다. 그는 “작은 손길이 절망 속 도민에게 단비가 되고 국가의 존재를 느끼게 한다”며 앞으로도 이 제도를 통해 금융취약층에게 지속적인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.